
[이전] [다음]

고 이러한 상황을 이용한 적대자들이 루터에 대한 비방거리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은 일이었다.196)
대다수 현대인들은 중세인들보다 루터를 이해하기 더 어려운 면이 있다. 사유 체계와 판단 기준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197) 그렇기 때문에 현대의 연구자가 루터의 정치사상과 농민전쟁에 대한 견해를 이해하려면, 먼저 루터의 사유 체계와 판단 기준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점에서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실패하였음을 고찰한 바 있다. 적지 않은 연구자들이 루터가 처한 실존적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루터의 사유와 판단 체계를 이해하지 못한 채, 자신의 가치 척도로서 루터를 재단하는 오류를 범했던 것이다.198)
이러한 오류에 빠지지 않고 루터의 정치사상과 농민전쟁에 대한 견해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먼저 루터의 정치사상의 특징이자 루터의 핵심 판단 기준인 하나님, 성서, 악마, 종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199)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부 농민들이 약탈과 살인으로 무고한 희생자와 순교자의 피를 흘리는 유혈 사태가 확산되려는 역사적 상황을 이해할 때, 우리는 루터가 농민전쟁에 내린

196) Brecht, op. cit., SS.188-9.
197) 일례로, 현대인들은 "농민 12개조"의 주장처럼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강조하지만, 엘리거(Walter Eliger)가 지적하듯이, 루터의 확고한 판단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제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루터는 모든 반란이 아무리 위장을 해도 그것은 단지 복음의 뜻을 속이고자 하는 "사탄의 세련된 시도"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Waalter Eliger, Luthers politisches Denken und Handeln(Berlin, 1952), 71. [Kirchner, op. cit., S.238.] 루터는 현대인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도 다르게 제시한 것이다.
198) Supra, pp.24-6.
199) 이러한 이해가, 키르히너가 주장하는, "오직 그만 이해될 수 있는 그 자리"에서 그를 이해해야 하고, "그가 홀로 서 있으려고 했던 그 자리"에서 루터를 연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Kirchner, op. cit., S.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