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전] [다음]

도 가깝게 있기 때문이었다.137)
이러한 루터의 악마 이해는, 루터가 1537년의 슈말칼덴 조항에 대해서 "우리가 교황과 악마와 세계와 맞서 가르치고 실행해야 할 모든 것은 바로 이 조항에 있다"138)고 했고, 교황제도를 평생 공격하며, 1546년에는 "악마의 제도"라고 하면서 통렬히 비판하는 글을 쓴 것에서 보듯이 말년까지 일관된 모습을 보였다.139)
4. 그리스도교적 정치사상과 농민전쟁
우리는 이제까지 루터의 정치사상의 그리스도교적 기초인 하나님의 신성과 수위권, 성서중심주의, 악마와 종말론을 고찰해 보았다. 여기서는 루터가 이러한 그리스도교적 기초로써 농민전쟁에 대해 판단하고 저술한 것을 고찰하고, 이러한 루터의 관점에 대한 이해가 루터의 정치사상과 농민전쟁에 대한 일관성과 정당성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데 필수적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첫째, 대다수의 사람들이 정치적 또는 사회적 사건으로 해석하는 농민전쟁을 루터는 하나님의 신성과 수위권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한 것을 고찰하고자 한다. 농민전쟁 관련 논문에 있는 하나님의 말씀이자 명령인 성서의 무수한 인용과 하나님에 대한 호소는 루터가 농민전쟁을 하나님 앞에서 보고 하나님 앞에서 해결책을 구한 것을 보여 주고 있다. "평화 권고"에서 루터는 반란을 일으킨 농민들이 하나님의 진노 아래 있음을 선언하였다.

137) Oberman, Luther: Mensch zwischen Gott und Teufel, S.21.
138) The Smalcald Articles, 1537, 2, 1:5, Die Bekenntnisschriften der evangelischlutherischen Kirche (Gottingen: Vandenhoeck und Ruprecht, 1956), S.415. [Gritsch, op. cit., p.93.]
139) "Against the Roman Papacy, an Institution of the Devil," LW 41,263-376.

